일본 쌀값이 작년에 비해 두배 정도 폭등했습니다.
갑자기는 아니고 작년 봄부터 계속 상승하고 있는데요
그 원인과 분석을 해보고,
한국 쌀값에 영향은 어떻게 미칠지 알아보겠습니다.

일본 쌀값 어느정도 올랐나
일본 쌀값이 1년 전인 2024년 4월 기준으로 5kg에 2,000엔대 초반이었는데
2025년 4월 말 기준으로 5kg 쌀의 판매가가 4,233엔까지 기록했습니다.
소매 기준으로 두배이상, 도매 기준으로는 약 70% 가까이 올랐습니다.
비슷한 쌀을 먹는 우리나라와 비교해 보겠습니다.
2024년 :
- 일본 5kg 쌀 소매가 2,000엔대 초반 (당시 환율을 약 900원으로 계산하면 2만원 이하)
- 한국 5kg 쌀 소매가 약 2만원 정도
- 한국과 일본의 쌀 값이 거의 비슷했습니다.
2025년 :
- 일본 5kg 쌀 소매가 4,100~4,500엔 (환율 약 950원 계산시 38,950~42,750원)
- 한국 5kg 쌀 소매가 약 2만원~2만4천원
- 일본 쌀값이 한국의 두배 정도로 상승
쌀값이 1년만에 두배로 올랐다는건 우리나라 사람으로서는 상상하기 쉽지 않죠. 하지만 해외에서는 가끔 일어나는 일입니다.
일본 쌀값 상승 원인
일본의 쌀값이 1년만에 두배 정도로 폭등한 데에는 여러 가지 이유가 있습니다.
- 유통 구조와 정책 실패
- 사재기와 외식 수요 증가
- 기후 변화와 생산량 감소
- 장기적 쌀 감산 정책
- 관광객 수요 증가
일본 정부는 2023년 생산량 감소에도 불구하고 2024년 초까지 “쌀이 충분하다”는 입장을 고수하면서 비축미 방출을 늦추었고,
정부에서 312,000톤의 비축미를 방출하자 JA농협이 물량의 90% 이상을 흡수해 시장에 천천히 풀어 비축미 방출로 인한 효과도 미미했습니다.
하지만 이런 결정이나 실수가 이렇게 쌀값을 폭등시킨 원인이라고 보기는 어렵습니다.
문제는 코로나19가 끝나고 일본 엔화가 저평가 되면서 코로나19 동안 거의 없었던 관광객이 폭발적으로 늘어난데 있다고 볼 수 있겠습니다.
일본의 관광객 수
일본은 2022년 코로나19가 끝나고 10월 이후 본격적으로 관광객이 증가하기 시작했습니다.
2022년 : 연간 3,831,900명
- 12월: 1,370,000명
2023년 : 연간 25,066,100명
- 1~3월: 150만~200만 명
- 4~6월: 200만~220만 명
- 7~9월: 220만~240만 명
- 10월: 2,516,500명
- 11월: 2,440,000명
- 12월: 2,734,000명
2024년 : 연간 36,869,900명
- 1월: 2,688,478명
- 2월: 2,788,224명
- 3월: 3,081,781명
- 4월: 3,043,003명
- 5월: 3,040,294명
- 6월: 3,140,642명
- 7월: 3,292,500명
- 8월: 2,933,381명
- 9월: 2,872,487명
- 10월: 3,312,193명
- 11월: 3,187,000명
- 12월: 3,489,800명
글로벌 식품·농업 은행 라보뱅크는 2022년 7월 ~ 2023년 6월 일본 관광객의 쌀 소비량이 1만 9,000톤이었던 반면, 2023년 7월~2024년 6월에는 5만 1,000톤으로 약 2.7배 증가했다고 추정했습니다.
이는 일본 연간 쌀 소비량(약 700만톤 내외)의 약 0.7% 수준에 해당합니다.
이렇듯 대부분의 언론과 전문가들은 일본 내 관광객들의 쌀 소비량이 전체 쌀 소비량에 비해 1% 미만으로 미미한 수준이라고 주장했습니다. 마찬가지로 일본 정부나 JA농협도 이러한 근거를 들어 적극적인 쌀값 방어에 들어가지 않고 일시적인 현상으로 치부해 버렸습니다.
하지만 비율로는 매우 적지 수치라도 3만2천톤이나 1년 전보다 증가했다는건 상당한 수치입니다. 특히나 관광객은 고품질의 쌀만을 주로 소비할텐데 2023년 여름의 기록적 폭염과 고온 장해로 쌀 생산량이 감고했고, 품질도 니가타현의 1등급 쌀 비율이 80%에서 60%로 떨어지는 상황에서 관광객의 급증은 생각보다 큰 영향을 끼치게 되었습니다.
거기다가 쌀이 부족하고 쌀값이 올라가자 사재기가 쌀값 상승을 더욱 부추기게 된 것입니다.
22년까지 여유가 있던 쌀 유통물량이
22년 말부터 급증한 외국인 관광객들로 인해 1년간 빠르게 소진되면서,
24년 초에 모두 소진이 되자,
쌀 유통의 여유가 사라져 급격하게 쌀값이 오르게 됐는데,
정부와 농협이 아니라고 하고 있다가 사태를 키운 꼴이 되었습니다.
일본의 쌀값이 수입쌀로 해결 안되는 이유
일본인의 선호 쌀
한국과 일본, 대만은 자포니카 쌀을 주식으로 먹고있습니다.
자포니카 쌀은 쌀알이 둥글고 찰기가 있는 쌀 입니다.
전세계 쌀 생산량의 약 10~15% 정도가 자포니카 품종이고
나머지는 인디카 품종(동남아 쌀의 형태로 일명 알랑미라고 하는 쌀알이 길고 점성이 없는 쌀)을 생산하고 있습니다.
중국 동북부와 중부, 미국 캘리포니아, 브라질 남부, 호주 남동부, 이탈리아, 스페인 등에서도 자포니카 품종이 일부 재배되고 있지만, 중국 쌀에 대한 불신과, 미국 등지의 쌀의 경우 GMO 쌀은 아니지만 인식이 안좋아서 일본의 쌀 소비에는 제한적입니다.
한국의 쌀 수출
한국은 2025년에 35년 만에 대규모로 일본에 판매용 쌀을 수출하기 시작했고, 수출된 쌀은 열흘 만에 완판되는 등 현지 반응이 매우 좋습니다.
2025년 일본에 대한 쌀 수출
3월 : 전남 해남군에서 쌀 2톤 수출
4~5월 : 추가로 10톤 수출. 완판.
5월 이후 : 경북 포항 50톤, 경남 하동 총 200톤 예정, 전남 강진 200톤 예정
한국의 쌀 생산량
2021년: 3,882,000톤
2022년: 3,764,000톤
2023년: 3,702,000톤
2024년: 3,585,000톤
2024년 한국의 전체 쌀 수출량은 약 13만7천톤으로 쌀 생산량에 비해 수출량이 많지 않아 수출로 인한 국내 쌀값 영향은 미미합니다.
법적으로 쌀 수출에 대한 별도의 규제는 없지만 우리나라의 쌀값이 세계적으로 비싼 편이라 수출 물량이 급증할 걱정은 안해도 될것 같습니다.
높은 쌀값 관세
일본은 자국내 쌀값이 급등하니까 저렴한 수입쌀을 들여와서 쌀값을 낮추면 될텐데 높은 관세 때문에 이마저도 쉽지 않습니다.
일본은 자국 쌀 산업을 보호하기 위해서 민간 수입쌀에 대해 1kg 당 341엔의 고관세를 부과합니다.
미국산 칼로스 쌀의 경우 일본 내 매입가가 운송비 포함해서 1kg당 약 150엔 정도 됩니다.
관세까지 합치면 491엔. 5kg면 2,455엔. 유통마진까지 생각한다면 일본 쌀에 비해 10~30% 정도 저렴하게 됩니다.
지금이니까 싼거지 쌀값이 오르기 전에는 미국 칼로스 쌀이 일본 쌀보다도 더 비쌌습니다.
우리나라 쌀의 경우 환율을 950원으로 잡으면 3,240원 정도가 1kg당 관세로 붙습니다.
우리나라 쌀 5kg을 2만원으로 잡으면 1kg당 4천원인데 관세를 합치면 kg당 7천원이 넘고 5kg에 3만6천원이 넘어갑니다. 유통비를 감안하면 더 올라간다고 봐야겠죠.
이렇게 고율의 관세로 인해 수입쌀이 들어와도 쌀값을 하락시키기 보다는 더 이상 상승하지 못하게 하는 정도의 역할 밖에 못하고 있습니다.
일본 쌀값 전망
일본 정부와 전문가들은 이번 쌀값 급등이 일시적 현상이 아니라, 기후변화에 따른 생산 감소, 관광객 수요 급증, 유통 구조 경직 등 구조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라고 진단합니다.
일본 정부는 그동안의 방출미로 해결이 안되자 7월까지 매월 10만톤씩 추가 방출하겠다고 밝혔습니다. 당장 평년 수준으로 돌아가기는 어렵다고 보고 쌀값을 점진적으로 낮춰서 5kg당 3,000엔대까지 내리는걸 목표로 잡고 있습니다.
2025년 새 쌀 수확이 본격적으로 시장에 풀리는 9~10월 쯤 돼야 본격적인 가격 안정 효과가 나타날 수 있을거란 전망입니다.
한국 쌀값에 영향은?
지금 정도의 쌀값이 유지된다면 한국 쌀도 수출 물량이 더 늘어나겠지만
일본인들은 자국 쌀에 대한 자부심과 사랑이 깊은 만큼
쌀값이 조금 더 내려가면 수입쌀과의 가격차이가 거의 없어져
우리나라 쌀의 판매가 지금처럼 잘 이뤄지지 않을 것 같습니다.
일본 쌀값이 2,000엔대 초반에서 4,000엔이 넘게 올라갔는데
조금만 내려와서 3,800엔 정도만 한다면
환율 950원으로 계산했을때 36,100원으로 우리나라에서 수입한 쌀값과 같게 되므로(유통비를 생각하면 더 일본쌀이 더 싸게 됩니다)
우리나라 쌀이 일본에서 더 이상 경쟁력을 발휘하기는 어려울 것 같습니다.
일본 정부도 지금같은 상황을 타개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으니까
지금 이상으로 값이 올라가진 않을 것 같고
우리나라 쌀값이 많이 오를 정도로 쌀을 대량으로 수출하기도 쉽지 않아서
우리나라 쌀값에 대한 영향은 크지 않으리라 생각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