챗GPT(ChatGPT)를 유료로 사용하시는 분들이 꽤 많은데요
많이 사용하는 사람의 경우 한도초과에 걸려서 다른 사람들과 아이디 공유하기도 쉽지 않습니다.
이럴때 큰 금액은 아니지만 알뜰하게 절약할 수 있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챗GPT 결제 방법별 결제 금액
챗GPT를 유료로 사용하는 경우 플러스 요금일 경우 $20를 내게 되는데요
여기에 부가가치세 10%를 더해서 실제 결제되는 금액은 $22 입니다.

오늘 2025년 6월 4일 기준으로 원달러 환율이 네이버에서 하나은행의 고시환율로 보면
1,372.80원이 나오는데요 여기에 22달러를 곱하면 30,201.6원이 나옵니다. 끝은 빼도 30,200원이 나오게되죠.

근데 핸드폰에 챗GPT를 설치해서 플러스 요금제로 업그레이드 할 경우
월 29,000원에 결제할 수 있습니다.

결제 방법별 결제 금액 계산
모바일의 경우 결제할 때 앱스토어에서 결제금액의 30%를 가져가는 방식이고
금액을 원화 기준으로 미리 고정해 놔서 항상 29,000원에 이용할 수 있는 겁니다.
하지만 컴퓨터로 결제할 경우 항상 USD로 22달러를 결제해야 하는데
환율이 낮을 때는 컴퓨터가 싸지만 요즘처럼 환율이 높은 구간에서는 모바일이 더 싸게 되는 겁니다.
거기다가 달러로 결제를 하게되면 신용카드 해외 결제 수수료가 추가로 붙게 되는데요
카드사마다 약간씩 다르긴 하지만 1.2% ~ 1.3%가 추가로 붙게 됩니다.
국내에서 카드로 구매시 카드수수료는 판매자가 부담하지만
해외결제시는 카드수수료가 카드 이용자에게 부담되는 구조로 되어있어서 그렇습니다.
이건 중간에 국제 결제망(VISA, Mastercard 등)이 껴 있어서 그렇습니다.
챗GPT의 PLUS 유료 결제시 금액 계산(예시)
- 컴퓨터 : 22달러 X 1,372.80원(6.4일) X 1.2% = 30,564원
- 모바일 : 29,000원
- 차액 : 1,564원
카드 수수료별 환율 기준금액
만약 1.2% 수수료의 카드를 쓴다고 가정한다면
22달러 결제시 환율이 1302원이면 28,987.7원이 돼서 모바일의 29,000원 보다 이득이 됩니다.
그러니까 환율이 1,302원 이하면 컴퓨터에서 달러로 결제하고
환율이 1,302원이 넘으면 모바일로 결제하는게 저렴하게 사용할 수 있는 방법입니다.
1.3% 수수료의 카드를 쓴다면 환율 1,301원이 28,994원으로 기준이 됩니다.
카드사 해외결제 수수료
- 1.3% : 국민카드, 신한카드, 삼성카드, 우리카드
- 1.2% : 현대카드, 롯데카드, 하나카드